Dongguk University
민화개론 | ||
---|---|---|
민화의 개념과 정의 및 범주를 비롯하여 한국 민화의 특징을 시대별, 장르별, 지역별 등으로 특성을 고찰한다. | ||
한국미술론과민화 | ||
한국미술사에서 민화의 위상과 그 특성을 고찰한다. 특히 한국미 혹은 한국회화사와 관련하여 민화의 특성을 고찰, 민화의 독자성을 확립한다. | ||
한국채색문화와민화 | ||
한국 채색문화의 특징을 살피면서 민화의 문화사적 특징을 고찰한다. 특히 수묵 문인화 중심의 한국회화사 기술에서 채색화의 특장을 민화의 입장에서 정리한다. 더불어 한국인의 색채의식을 살핀다. | ||
궁정회화와민간회화 | ||
채색화의 양대 지주인 궁정회화와 민간회화의 상관관계를 고찰한다. 도화서 화원의 역할과 작품, 그것의 민간 유통에 따른 독창성 수립 등을 헤아린다. | ||
불화와민화 | ||
불교문화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채색 불화의 특징을 살피면서, 특히 불화 속의 민화 요소에 대하여 고찰한다. 조선후기 사찰벽화에 남아 있는 민화 소재에 대하여 고찰한다. | ||
민화와공예 | ||
전통 공예품과 민화와의 상관관계를 고찰한다. 목조, 금속, 도자, 자수 등 생활 속에서 사용되었던 공예품 속의 민화 요소를 고찰한다. | ||
민화와현대미술 | ||
전통 민화와 현대미술과의 접목을 위한 고찰이다. 이를 위해 현대미술의 특성을 살펴보면서, 특히 현대작가의 민화 활용 사례를 살피면서 현대미술과 민화의 상관관계를 고찰한다. | ||
민화와외국미술 | ||
해외 민간미술의 대표적 사례를 살피면서 그것의 특성과 우리 민화와의 차별상을 헤아린다.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 해외 민간회화의 고찰은 우리 민화의 특성을 확인하는데 커다란 도움을 준다. | ||
민화창작방법론(기초) | ||
민화의 전통성을 기반으로 한 창작민화의 토대 구축을 위한 강좌이다. 이를 위해 민화의 상징성과 조형성 등 특징을 기초로 하여 현대감각에 맞는 창작성을 고찰하는 기초적 방법론이다. | ||
민화창작방법론(심화) | ||
현대사회에서의 창작민화를 위한 심화과정이다. 이를 위해 전문작가의 길을 지향할 수 있는 토대 마련에 중점을 둔다. 작가양성을 위한 과정이다. | ||
채색화재료와기법 | ||
민화 작업을 위한 채색 안료와 염료, 종이와 비단, 붓과 먹 등 채색화 재료에 대한 고찰이다. 이를 위해 역사적, 현실적 재료 탐구를 통하여 채색화의 재료와 기법적 접근을 시도한다. | ||
현대민화론 | ||
전통민화의 현대적 수용에 대한 고찰이다. 한류의 으뜸 장르로 가능성이 큰 민화의 현대화와 국제화 등 당면과제를 살피면서 민화의 외연 확대를 추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