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p zone

교과목 해설

민화개론
민화의 개념과 정의 및 범주를 비롯하여 한국 민화의 특징을 시대별, 장르별, 지역별 등으로 특성을 고찰한다.
한국미술론과민화
한국미술사에서 민화의 위상과 그 특성을 고찰한다. 특히 한국미 혹은 한국회화사와 관련하여 민화의 특성을 고찰, 민화의 독자성을 확립한다.
한국채색문화와민화
한국 채색문화의 특징을 살피면서 민화의 문화사적 특징을 고찰한다. 특히 수묵 문인화 중심의 한국회화사 기술에서 채색화의 특장을 민화의 입장에서 정리한다. 더불어 한국인의 색채의식을 살핀다.
궁정회화와민간회화
채색화의 양대 지주인 궁정회화와 민간회화의 상관관계를 고찰한다. 도화서 화원의 역할과 작품, 그것의 민간 유통에 따른 독창성 수립 등을 헤아린다.
불화와민화
불교문화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채색 불화의 특징을 살피면서, 특히 불화 속의 민화 요소에 대하여 고찰한다. 조선후기 사찰벽화에 남아 있는 민화 소재에 대하여 고찰한다.
민화와공예
전통 공예품과 민화와의 상관관계를 고찰한다. 목조, 금속, 도자, 자수 등 생활 속에서 사용되었던 공예품 속의 민화 요소를 고찰한다.
민화와현대미술
전통 민화와 현대미술과의 접목을 위한 고찰이다. 이를 위해 현대미술의 특성을 살펴보면서, 특히 현대작가의 민화 활용 사례를 살피면서 현대미술과 민화의 상관관계를 고찰한다.
민화와외국미술
해외 민간미술의 대표적 사례를 살피면서 그것의 특성과 우리 민화와의 차별상을 헤아린다.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 해외 민간회화의 고찰은 우리 민화의 특성을 확인하는데 커다란 도움을 준다.
민화창작방법론(기초)
민화의 전통성을 기반으로 한 창작민화의 토대 구축을 위한 강좌이다. 이를 위해 민화의 상징성과 조형성 등 특징을 기초로 하여 현대감각에 맞는 창작성을 고찰하는 기초적 방법론이다.
민화창작방법론(심화)
현대사회에서의 창작민화를 위한 심화과정이다. 이를 위해 전문작가의 길을 지향할 수 있는 토대 마련에 중점을 둔다. 작가양성을 위한 과정이다.
채색화재료와기법
민화 작업을 위한 채색 안료와 염료, 종이와 비단, 붓과 먹 등 채색화 재료에 대한 고찰이다. 이를 위해 역사적, 현실적 재료 탐구를 통하여 채색화의 재료와 기법적 접근을 시도한다.
현대민화론
전통민화의 현대적 수용에 대한 고찰이다. 한류의 으뜸 장르로 가능성이 큰 민화의 현대화와 국제화 등 당면과제를 살피면서 민화의 외연 확대를 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