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gguk University
화장품학연구 | ||
---|---|---|
화장품과 피부, 원료, 안정성, 제품, 및 향장품에 관련된 모든 사항을 올바르게 인식한다. | ||
뷰티마케팅연구 | ||
뷰티 산업의 규모와 기능, 뉴 트렌드의 파악을 통해 마케팅 육성, 촉진 방안을 모색한다. | ||
피부관리개론 | ||
인체 및 피부 생리를 학습하고 피부 미용의 직업적 이해와 피부 미용 관리 업무 영역 제모에 관하여 학습 연마한다. | ||
피부생리학연구 | ||
피부를 이루고 있는 세포와 조직을 이해하고 피부 면역, 순환, 신경전달, 물질대사 등에 대해 학습한다. | ||
미용학 | ||
피부 미용과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피부 경락의 체계를 확립한다. | ||
모발두피관리학 | ||
현대 사회에 스트레스나 염색, 파마 등 모발 손상과 탈모가 급증함에 따라 두피에 대한 학문적 이해와 미용 산업을 육성,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
아로마스킨케어 | ||
다양한 아로마오일을 통한 페이셜 트리트먼트나 보디 트리트먼트에 대한 효능 및 기능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스킨케어 오일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연구한다. | ||
아로마테라피실습(현장실습) | ||
식물의 향과 약효를 이용해서 몸과 마음의 균형을 회복시키고 인체의 향상성 유지를 목표로 하는 자연요법을 분석 습득한다. | ||
네일미용연구 | ||
네일아트 전래와 재료를 뷰티 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사례를 통해 사례별 분석 및 연구 학습한다. | ||
뷰티테라피연구 | ||
몸과 마음을 아름답게 하는 토탈 피부, 헤어, 네일, 딥아트 스킨 화장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학습한다. | ||
퍼스널이미지메이킹연구론 | ||
개인의 특성, 외모, 성격, 직업, 언어 습관 등을 분석 하여 최상의 이미지를 찾아내어 극대화 시키는 방법을 연구한다. | ||
동서미학연구 | ||
동양과 서양의 미학의 역사와 개념을 정리하고 미용 연구에 기초가 되는 전반적인 분야를 이해한다. | ||
메이크업트렌드연구 | ||
뷰티 메이크업과 분장 차이를 이해하고 컨셉 및 브랜드별 메이크업의 정통성을 확립하고 연구한다. | ||
네일디자인연구 | ||
뷰티산업 시장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혹은 재료별 화려한 디자인을 육성하고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 ||
색채학연구 | ||
색채의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미용 산업 분야의 컬러리스트의 양성을 통해 색조 제품의 분석, 평가 등을 할 수 있고, 미래의 코스메틱 컬러의 경향을 제시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헤어아트세미나 | ||
커트, 드라이, 컬러링 등의 다양한 기술을 종합하여 헤어 디자인의 완성을 위해 활용 하는 능력을 배양하고, 모델별로 케이스 스터디를 하여 현장 적용에 능동적으로 대처한다. | ||
자연치유학원론세미나 | ||
동양 의학을 기반으로 한 인체의 면역력 증강을 위한 자연 치유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체계화 한다. | ||
생약미용재료 | ||
생약제를 위주로 한 피부 미용 재료의 전반적 학습을 통해 천연 물질 재료를 응용으로 화장품 개발을 습득한다. | ||
노화예방과 천연항산화소재 | ||
자연을 소재로 한 인체 노화 예방 물질을 개발 하여 피부의 노화를 예방, 개선 한다. | ||
미용심리학 | ||
아름다운 용모와 관련된 모든 행동이나 인식, 사고 등을 심리학적 연구를 통해 미를 추구하는 인간과 동물 등의 마음 및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 학습한다. | ||
논문분석방법론 | ||
기초적 지식과 논문 연구를 통해 학위 논문 작성 방법을 습득한다. | ||
미용식이요법 | ||
음식물 섭취와 건강, 피부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 하여 음식물 섭취를 통한 피부 개선의 과학화를 체계적으로 학습 한다. | ||
피부미용경혈학 | ||
경락과 경혈을 학습, 응용하여 몸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건강을 통한 피부의 개선을 향상한다. | ||
에스테틱테라피연구 | ||
호르몬 테라피, 스파 테라피, 컬러 테라피, 뮤직 테라피, 스톤 테라피 등 현재 활발히 사용 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에스테틱 테라피에 대하여 연구한다. | ||
뷰티문화산업연구론 | ||
뷰티 산업과 관련된 정보를 올바르게 습득하고 산업에 필요한 법률, 산업의 규모와 기능, 산업의 새로운 트렌드를 파악하고 뷰티 산업을 육성,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
기능성화장품연구 | ||
주름, 미백, 신제품 등 기능성 화장품에 사용되는 화장품 원료에 대한 지식 및 최신 경향을 습득한다. | ||
메디컬뷰티케어연구 | ||
몸의 생체리듬을 관리하고 운동과 식이요법을 통한 기능적인 피부 개선과 통증 메디컬 관리를 학습한다. | ||
뷰티통계학연구 | ||
뷰티아트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초 통계 이론과 더불어, 자료의 정리 및 분석 방법을 배우고 기초적 통계 방법론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통계 처리 능력을 배양한다. | ||
화장품성분학, 향료학연구 | ||
화장품 성분 및 향료의 종류에 따른 소재의 특성을 바탕으로 뷰티 산업 분야의 화장품 향료를 중점 연구한다. 또한 코스메틱 향료리스트의 양성을 통해 국내외 화장품 성분 및 향료를 분석 및 평가 하고 미래의 화장품 성분과 향료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헤어및패션디자인연구 | ||
헤어스타일뿐만 아니라 의상, 구두, 액세서리 등 전체의 체형과 얼굴의 이미지에 어울릴 수 있도록 연구한다. | ||
석사논문연구 |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 | |
석사과정 개인 학생들의 석사학위 연구논문을 진행한다. | ||
논문분석 방법론 1 | Theory of Dissertation 1 | |
논문구성에 대한 기초적 지식과 본인의 관심주제와 연관된 선행 학술지 및 학위논문의 분석을 통하여 학위 논문 작성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 ||
논문분석 방법론 2 | Theory of Dissertation 2 | |
논문구성에 대한 기초적 지식과 본인의 관심주제와 연관된 선행 학술지 및 학위논문의 분석을 통하여 학위 논문 작성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 ||
논문분석 방법론 3 | Theory of Dissertation 3 | |
논문구성에 대한 기초적 지식과 본인의 관심주제와 연관된 선행 학술지 및 학위논문의 분석을 통하여 학위 논문 작성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 ||
논문분석 방법론 4 | Theory of Dissertation 4 | |
논문구성에 대한 기초적 지식과 본인의 관심주제와 연관된 선행 학술지 및 학위논문의 분석을 통하여 학위 논문 작성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 ||
색채학 연구 | Principle of Color | |
색채의 과학적인 부문과 심리적인 부문에 의한 색채의 체계, 색채의 현상 및 색채의 기능을 이해하고 색채조화 및 배색의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 ||
미용문화사 연구 | History of Cosmetology Culture | |
미용문화의 역사와 미용과 관련된 국내외의 문화사를 포괄적으로 다룸으로서 인류의 역사와 함께 문화사적인 특징 등을 알아보고 미용문화의 정통성을 확립하도록 학습한다. | ||
교육심리 연구 | Theory of Educational Psychology | |
현대 사회인으로써 미용인이 지녀야 할 윤리적 소양과 올바른 직업관을 기르기 위하여 교육하고, 나아가 화장품 및 향장미용 교육자가 지녀야 할 소양과 교육방법에 관한 실력을 함양시킨다. | ||
뷰티자료리서치 연구 | Beauty Document Research | |
국내 및 해외 미용관련 문헌 및 자료를 다양하게 확보하여 연구동향의 흐름을 파악하는 실력을 함양시킨다. | ||
HB시대의 뷰티의 역할 연구 | Roll of Beauty in Health and Beauty Times | |
건강과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新현대생활에서 건강에 기반된 아름다움의 올바른 사회적 역할과 가치에 대하여 논의한다. | ||
뷰티교육 연구 | Theory of Beauty Education | |
현대 사회인으로써 미용인이 지녀야 할 윤리적 소양과 올바른 직업관을 기르기 위하여 미용을 교육하고, 나아가 화장품 및 향장미용 교육자가 지녀야 할 소양과 교육방법에 관한 실력을 함양시킨다. | ||
뷰티교재연구 및 지도법 연구 | Study of Beauty Textbook and Teaching Methodology | |
뷰티전문가가 되기 위한 합리적인 지도교수법과 뷰티영역 중 각자의 영역에서 교육교재 개발의 구성에 대하여 기초적인 부분부터 학습하여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교재구성이 가능하도록 학습한다. | ||
뷰티미학연구 연구 | Study of Beauty Aesthetics | |
현대사회에 필요한 아름다움 가치의 세분화와 특성화를 통한 발전을 위해서 美(아름다움)에 대한 기원, 역사, 현재 그리고 나아가야할 인사이트와 방향성에 대하여 학습한다. | ||
스킨케어와 이너뷰티 연구 | Skincare and Inner Beauty | |
이너뷰티 개념으로 알맞은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로 인한 스킨케어가 가능할 수 있도록 영양과 피부의 상관관계를 생리학적으로 학습한다. | ||
탈모현상과 영양상태 연구 | Study of Hair Loss Phenomenon and Nutritional Status | |
인체모발을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과 그의 최소단위인 아미노산(amino acid)의 모발에 미치는 가치에 대해서 영양과학적으로 이해하고 양질의 단백질의 꾸준한 섭취와 탈모 및 백모현상 등의 현상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생리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학습한다. | ||
메이크업 교육교재 연구 | Theory of Makeup Education Textbook | |
뷰티영역 중 메이크업 영역에서의 교육교재 개발의 구성에 대하여 기초적인 부분부터 학습하여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교재구성이 가능하도록 학습한다. | ||
네일케어 교육교재 연구 | Theory of Nailcare Education Textbook | |
뷰티영역 중 네일아트/케어 영역에서의 교육교재 개발의 구성에 대하여 기초적인 부분부터 학습하여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교재구성이 가능하도록 학습한다. | ||
공중보건 교육교재 연구 | Theory of Public Health Education Textbook | |
뷰티영역 중 이너뷰티 및 헤어/네일/스킨케어시 중요하게 연관되는 공중보건적 영역에서의 교육교재 개발의 구성에 대하여 기초적인 부분부터 학습하여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교재구성이 가능하도록 학습한다. | ||
천연유래 화장품학 연구 | Study of Natural Cosmetics | |
천연유래 소재를 기반으로 제조되는 천연 또는 천연유래화장품에 대하여 이해하고, 그 세부성분의 종류와 기능성에 대하여 학습한다. | ||
영양미용학 연구 | Study of Nutricosmetics | |
현대인으로서 어떻게 음식물을 섭취/소화/흡수/배설해야 건강한 아름다움을 지속가능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영양과학적 그리고 생화학적 관점으로 학습한다. | ||
헤어교육자료 강독 연구 | Study of Reading Hair Education Document | |
뷰티영역 중 헤어 영역에서의 교육교재 개발의 구성에 대하여 기초적인 부분부터 학습하여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교재구성이 가능하도록 학습하고 익힐 수 있도록 한다. | ||
향장교육 특강 | Special Lecture on Cosmetic Education | |
뷰티영역 중 화장품 향장 영역에서의 교육 개발법의 구성에 대하여 기초적인 부분부터 학습하여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교육이 원활하게 가능하도록 향장산업의 대표적 산업체 전문가 등을 초빙하여 특강을 진행한다. | ||
뷰티관광사업 연구 | Study of Theory of Beauty Business | |
K-Beauty의 발전과 성장처럼 글로벌시대에서 뷰티와 연관된 관광사업의 발전가능성은 무한한 상태로서 관광학의 개념과 발전전략에 대해서 뷰티와 연관해서 심화학습한다. | ||
서양근대미용사 연구 | Study of Modern American History of the West | |
서양의 문화적 배경, 문헌고찰 등을 통해 각 나라별 근대미용사에 대해 연구하고 우리문화에 적용해야 할 부분을 추출함과 동시에 우리문화의 정통성을 살리는 미용방법을 고안하여 동서양의 장점을 융화시킨 미용문화 정립에 대해 연구한다. | ||
모발보건학 연구 | Study of Health Trichology | |
모발의 구조, 생리와 화학적 조성을 논의하고 두피질환에 대한 이론과 피부와 모발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과 화학물질과의 상호 작용 즉 산화/환원에 따른 특성 등을 습득하여 모발제품의 사용 및 개발에 필요한 기본능력을 인식하고 제품의 사용으로 인한 건강문제에 대하여 연구한다. | ||
미용전공영어 | Specialized English of Cosmetology | |
미용전공용어에 대한 전문성을 확립하여 미용학문의 깊이와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확보와 미용학문의 교두보확립을 위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한다. | ||
피부학 연구 | Study of Dermatology | |
피부와 부속기관의 구조와 생리 및 기능에 대한 기초이론을 재확립하고 화장품 개발과 피부관리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 위하여 학습한다. | ||
모발생물학 연구 | Study of Hair Biology | |
모발생물학의 기초와 모낭의 줄기세포 그리고 모발 내분비학과 모발의 각화과정 등을 이해하여 모발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모발생물학의 체계를 확립한다. | ||
화장품학 연구 | Study of Principle of Cosmetic | |
화장품과 피부, 원료, 안정성, 제품 및 향장품에 관련된 모든 사항을 올바르게 인식하기 위하여 학습한다. | ||
미용연구방법 연구 2 | Study of Methodology of Cosmetology Research 2 | |
연극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에 초점을 맞춘다. 연극치료는 임상 현장에서 이뤄지는 실천이 가장 중요한 분야이기 때문에, 이론만으로는 그 실체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렵다. 따라서 연극치료의 역사와 실제 작업을 구성하는 원리 등 개념적인 뼈대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함께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극치료 워크숍이 또 다른 축으로 진행될 것이다. 그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연극이 어떻게 치유로 기능할 수 있는지를 체험하고 연극 예술과 연극치료가 어떻게 서로를 풍성하게 할 수 있을지를 모색하게 될 것이다. | ||
미용연구방법 연구 3 | Study of Methodology of Cosmetology Research 3 | |
연극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에 초점을 맞춘다. 연극치료는 임상 현장에서 이뤄지는 실천이 가장 중요한 분야이기 때문에, 이론만으로는 그 실체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렵다. 따라서 연극치료의 역사와 실제 작업을 구성하는 원리 등 개념적인 뼈대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함께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극치료 워크숍이 또 다른 축으로 진행될 것이다. 그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연극이 어떻게 치유로 기능할 수 있는지를 체험하고 연극 예술과 연극치료가 어떻게 서로를 풍성하게 할 수 있을지를 모색하게 될 것이다. | ||
미용연구방법 연구 4 | Study of Methodology of Cosmetology Research 4 | |
연극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에 초점을 맞춘다. 연극치료는 임상 현장에서 이뤄지는 실천이 가장 중요한 분야이기 때문에, 이론만으로는 그 실체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렵다. 따라서 연극치료의 역사와 실제 작업을 구성하는 원리 등 개념적인 뼈대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함께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극치료 워크숍이 또 다른 축으로 진행될 것이다. 그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연극이 어떻게 치유로 기능할 수 있는지를 체험하고 연극 예술과 연극치료가 어떻게 서로를 풍성하게 할 수 있을지를 모색하게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