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정애(2005). ‘미술-치료에서 미술의 의미’. 독일 드레스덴 미술대학미술치료학술회(Die Kunst der Kunst
Therapie; Lotte, was machst Du in Seoul, Aus der Mitte. Band 1. 2005)
김정애(2015) ‘한국의 미술치료 동향’. 미술치료교육 국제교류.
독일 드레스덴 미술치료대학원 학술회 발표
2. 김정애(2010). 정서적 건강상태가 색채감정에 미치는 영향
3. 최진아, 김정애(2015). 미술치료 전공자의 직업의식과 직무만족도 조사연구. 미술치료연구지 제22권 제5호/20151269-1288. 공동(교신저자). (사)한국미술치료학회. KCI 등재지
4. 김정애(2015). 미술치료에서 동서 문화의 소통과 한계. 2015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비영리)한국통합미
술치료학회
5. 이우진, 김정애(2016). 미술치료전공자의 저널쓰기 체험의 의미. 공동(교신저자). 미술치료연구지, 제 23
권 제 5호(통권 86호). (사)한국미술치료학회. KCI 등재지
6. 한현주, 김정애(2018). 한국화 매체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포스터 발표, 공동(교신저자). 2018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사)한국미술치료학회
7. 박소영, 김정애(2019). 방임아동의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Mahler의 분리개별화 이론을 중심으로. 포
스터 발표, 공동(교신저자). 2019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사)한국미술치료학회
8. 김상분, 김정애(2019). 시설거주 시각장애 아동의 또래관계에 대한 입체조형중심 미술치료 사례연구. 공
동(교신저자). 임상미술심리연구 제9권
제1호 79-100.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KCI 등재후보지